엑셀 vlookup 따라 하기
안녕하세요. 엑셀은 문서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함수기능 때문에 모든 회사에서 이용하고 있는데요. 필요한 함수들이 한두 가지는 아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함수를 말하자면 엑셀 vlookup이 빠지지 않습니다. 그런 만큼 오늘은 엑셀 vlookup 따라 하기를 통해 쉽게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왜 필요할까요?
솔직히 엑셀 데이터가 몇줄 정도로 끝나는 정도면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눈으로 보고 아날로그 씩으로 고치고 수정하면 그만인 것이죠. 하지만, 만약 몇천줄의 데이터라면 어떻게 될까요? 하나씩 찾기가 매우 혼잡합니다. 이럴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vlookup입니다.
먼저 vlookup함수의 뜻이 무엇일까요?
이는 영어의 버티컬과 룩업을 혼합한 말인데요. 그냥 영어의 뜻 그대로 한글로 풀었을 때 직선에 있는 자료를 찾아준다는 뜻입니다. 사용할 줄 아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이미 무슨 뜻인지 이해하실 테니 vlookup함수로 만들어진 예시파일을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런식으로 표를 활용해 브이룩업 수식을 이용해 아래처럼 뜨도록 세팅할 것입니다.
vlookup 함수 사용하는 방법
당연하지만 따라하기 전에 먼저 수식 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vlookup(누구의 자료를 찾을것인지,어디에서 어디까지 범위를 지정할 것인지, 어디열에서 찾을것인지, 0) 이런구조로 되어있고 마지막의 0은 딱히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글로만 보면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씩 설명드리면 쉬울 테니 지금부터 엑셀 vlookup 함수 따라 하기를 시작하겠습니다.
chap1 어떤 데이터를 찾을지를 먼저 생각해야 되는데 아래의 표를 기준으로 캐릭터의 방어력 먼저 찾아보겠습니다.
=vlookup(누구의 자료를 찾을것인지,범위,열,0)의 구조에서 캐릭터의 방어력을 찾으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vlookup(누구의 자료(캐릭터),범위,열번호,0) 순으로 되기 때문에
=vlookup(B18(캐릭터 이름이 들어가는 셀칸),범위,열번호,0)가 되겠죠.
chap2 데이터 범위를 설정하는 두번째 칸입니다.
사실 이부분은 제일 쉽다고 할 수 있는데 그냥 표전체를 포함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니 위에것과 합치면 =vlookup(B18,B:7:H13,3,0)으로 기입하시면 됩니다.
chap3 데이터가 있는 열을 선택
사실 이 열 번호가 vlookup의 핵심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는데요.
현재 찾으려고 하는 방어력의 값이 두번째 칸에서 지정한 표에서 몇번째 열에 있는지를 기입하셔야 됩니다. 위의 표를 볼때 방어력은 3번째 칸이죠 그렇기 때문에 3이라고 적어주시면 됩니다.
chap4 나머지는 어떻게 만들면 될까요?
답은 매우 간단합니다. 원본데이터에서 추출할 열만 바꿔주면 그만인 것이죠. 단, 캐릭터와 표의 범위는 모두 절대참조를 해주셔야 합니다.(절대참조 상대참조 개념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했을 때의 함수식은
공격력
= VLOOKUP($D$18,$D$7:$J$13,2,0)
방어력
= VLOOKUP($D$18,$D$7:$J$13,3,0)
종족값
= VLOOKUP($D$18,$D$7:$J$13,4,0)
명중치
= VLOOKUP($D$18,$D$7:$J$13,5,0)
추가데미지
= VLOOKUP($D$18,$D$7:$J$13,6,0)
힘
= VLOOKUP($D$18,$D$7:$J$13,7,0)
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그리고 이를 기입하게 되면 맨 위에서 보여드린 gif 파일과 동일하게 이루어지죠. 사실 chap3까지 보여드린것 처럼 오로지 하나의 값만 추출하는 것이라면 모르겠지만 이렇게 한 캐릭터의 모든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선 절대참조 개념을 반드시 배워야 하며 이 또한 액셀의 핵심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내용이니 꼭 인지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혹여나 이해하기 어려우시다면 제가 직접 작성한 이 예시 파일을 보고 공부하여 보시길 바라며 오늘의 엑셀 vlookup 따라 하기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거래시간 시간외단일가 알아보기 (0) | 2021.11.16 |
---|---|
모니터 주사율 설정하는 방법 (0) | 2021.11.13 |
주식 평단가 계산하는 방법(주식 물타기) (0) | 2021.11.08 |
ux ui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1.10.06 |
동영상 gif 쉽게 변환하기 (0) | 2021.10.05 |